2025년 서울시 강북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서울시 강북구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출산축하금 제도는 폐지되었지만, 부모급여, 산모지원, 교통비 등 실질적인 혜택이 풍성하답니다.
📌 목차
1. 첫만남이용권
- 지원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의 보호자
- 지원금액: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 지급형태: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 사용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복지로, 정부24 또는 동 주민센터 방문
2. 부모급여 및 육아수당
- 부모급여:
- 0~11개월: 월 100만 원
- 12~23개월: 월 50만 원
- 가정양육수당: 24~86개월 미만, 월 10만 원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월 10만 원
- 신청처: 복지로, 정부24, 동 주민센터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6개월 이상 산모로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자
-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바우처 100만 원 상당 지급
- 건강관리사 방문 산후도우미 서비스 제공
- 산후조리 관련 업종 (한약, 건강식품, 산후운동 등) 이용 가능
- 서비스 기간:
- 첫째아: 10일 (단축 5일, 연장 15일)
- 둘째 이상 또는 다태아: 15~20일
- 신청기한: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
- 신청방법: 서울아기 건강지원센터 또는 동 주민센터 방문
- 문의처: 강북구보건소 지역보건과 ☎ 02-901-7331
4.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임산부
- 지원금액: 1인당 70만 원
- 지급형태: 본인 명의 카드에 교통 포인트 지급
- 사용기한: 임신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 신청방법: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또는 동 주민센터
5. 다자녀가정 지원
- 다둥이 행복카드: 3자녀 이상 가정에 발급
- 혜택: 공공시설 및 제휴업체 할인
- 신청처: 동 주민센터
6. 아이돌봄 서비스
- 대상: 생후 3개월 ~ 만 12세 이하 아동
- 내용: 아이돌보미가 가정 방문 돌봄 서비스 제공
- 이용료: 시간당 11,630원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 신청: 아이돌봄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신청
- 문의: 강북구 아이돌봄지원센터 ☎ 02-435-4147~8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강북구 출산축하금은 왜 없어졌나요?
- A1. 2023년 11월 「출생축하금 지원 조례」 폐지로 인해 현재는 운영되지 않습니다.
- Q2. 부모급여와 아동수당은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 A2. 네, 각각의 제도이므로 연령 기준에 맞다면 중복 수령 가능합니다.
- Q3. 산모 건강관리 바우처는 어디에 쓰나요?
- A3. 산후조리 관련 업종 및 산후도우미 서비스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Q4. 교통비 포인트는 어떤 곳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 A4. 택시, 대중교통, 유류비 등 교통 관련 항목에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