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경상남도 산청군 출산·육아 지원 정책 안내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5. 8.

2025년 경상남도 산청군  출산·육아 지원 정책 안내

산청군은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자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주요 지원 내용입니다.

 

목차

산청군 출산지원금

1. 출산장려금

  • 지원 대상: 출생일 기준 6개월 이상 산청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부모
  • 지원 금액:
    • 첫째아: 총 290만 원 (출산 시 50만 원 + 월 10만 원 × 24개월)
    • 둘째아: 총 410만 원 (출산 시 50만 원 + 월 10만 원 × 36개월)
    • 셋째아 이상: 총 1,250만 원 (출산 시 50만 원 + 월 20만 원 × 60개월)
  • 신청 방법: 출생신고 후 주소지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2. 부모급여

  • 지원 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0세~1세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
  • 지원 금액:
    • 만 0세 (0~11개월): 월 100만 원
    • 만 1세 (12~23개월): 월 50만 원
  • 지급 방식:
    • 가정양육 시: 현금 지급
    •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지급
    • 바우처 지원금액이 부모급여 지원금액보다 적은 경우 차액 지원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소지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3. 첫만남이용권

  • 지원 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 출생신고를 통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지원 금액:
    • 첫째아: 200만 원
    • 둘째아 이상: 300만 원
  • 사용 방법: 국민행복카드를 통한 바우처 지급
  • 사용 기간: 아동 출생일로부터 2년 후 자동 소멸
  • 신청 방법: 출생신고 후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지원 대상: 출산일 기준 부부 모두 관내에 90일 이상 거주하며, 신생아 주민등록을 산청군에 등재한 가구
  • 지원 내용: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의 90% 지원 (최대 15일)
  • 신청 방법: 보건소 모자보건팀 방문 신청

5. 다자녀 가정 지원

  • 수도요금 감면: 2자녀 이상 가구에 대해 상수도 10톤(4,300원) 및 하수도 요금의 50% 감면
  • 대학생 생활지원금: 3자녀 이상 가정의 대학생에게 매 학년별 1인당 30만 원씩(최대 4회) 지원
  • 신청 방법: 주소지 읍·면사무소에 재학증명서, 통장사본 지참하여 신청

 

6. FAQ

  • Q1: 출산장려금과 첫만남이용권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1: 네, 두 지원금은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
  • Q2: 부모급여는 어린이집을 이용해도 받을 수 있나요?
    A2: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부모급여에서 보육료를 차감한 차액이 지급됩니다.
  • Q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A3: 출산 후 보건소 모자보건팀을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더 자세한 정보나 신청 관련 문의는 산청군청 복지지원과(☎ 055-970-6000) 또는 관할 읍·면사무소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