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경기도 광주시 출산지원금 및 혜택 총정리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7. 2.
반응형

2025년 경기도 광주시 출산지원금 및 혜택 총정리

광주시 출산지원금

광주시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건강관리, 다자녀 가정까지 촘촘하게 지원하여 가족 친화 도시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 출산장려금

  • 지원대상: 광주시에 180일 이상 주민등록 유지한 가정의 출생아
  • 지원금액: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지역화폐로 일괄 지급)
  • 소급 적용: 2023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에 대해 적용
  • 신청처: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정부24

 

🍼 첫만남이용권

  • 지원금액: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 (바우처 형태)
  • 신청기간: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 신청·사용
  • 신청처: 복지로, 정부24, 주민센터

🏥 산후조리비

  • 지원금액: 경기도 기준 출생아당 50만 원 지역화폐 지급
  • 신청처: 주민센터 또는 경기도 민원24

👨‍👩‍👧‍👦 부모급여·아동수당

  • 부모급여: 0세 100만 원/月, 1세 50만 원/月 (총 최대 1,800만 원)
  • 아동수당: 만 0~7세 아동 월 10만 원 지급
  • 가정양육수당: 24~86개월 미취학 아동 월 10만 원 (어린이집 미이용 시)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 건강관리 서비스: 방문 건강관리, 예방접종, 의료비 연계 등 종합 지원
  • 고위험·난임 지원: 난임 부부 시술비, 고위험 임신 의료 일부 보조
  • 저소득층 기저귀·분유 바우처: 기준 중위소득 이하 가정 대상 제공

❓ 자주묻는질문(FAQ)

  • Q1. 출산장려금 대상 기준은 무엇인가요?
    A1: 출생일 기준 180일 이상 광주시 주민등록 유지한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 Q2. 부모급여와 아동수당 중복 지원 가능한가요?
    A2: 네, 두 제도 모두 조건 충족 시 중복 수급할 수 있습니다.
  • Q3. 건강관리 서비스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3: 보건소 모자보건과 방문 또는 전화로 신청 가능하며, 고위험 임신·출산도 지원 대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