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세종시 출산지원금 및 혜택 총정리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7. 7.
반응형

2025년 세종시 출산지원금 및 혜택 총정리

세종시 출산지원금

세종시는 모든 출산가정을 위한 지원금부터 건강관리, 난임·산후 조리, 의료비 지원까지 다채로운 출산·양육 정책을 운영하며,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지향합니다.

🎉 출산장려금

  • 지원대상: 출생신고일 기준, 출산 전·후 최소 3개월 이상 세종시에 주민등록이 유지된 부모
  • 지원금액:
    • 첫째아이: 120만 원
    • 둘째아이: 120만 원
    • 셋째아이 이상: 120만 원
  • 신청기한: 출생신고 후 6개월 이내
  • 지급방법: 지역화폐 ‘여민전’ 형태로, 다음 달 25일 일괄 지급
  • 문의처: 세종시 인구여성가족과 ☏ 044‑300‑3716
  • ※ 2023년 1월 이후 출생 기준으로 확대 시행 중입니다.

🍼 첫만남이용권

  • 지원대상: 2022.1.1 이후 출생아로 출생신고가 완료된 아동 (주민등록 생년월일 기준 2년 미만)
  • 지원금액: 첫째아 200만 원, 둘째아 이상 300만 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 사용기간: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
  • 사용가능처: 유흥·사행·마사지·면세점 등 일부 업종 제외 전 업종에서 사용 가능
  • 신청방법: 복지로, 정부24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 산후조리비·산모·신생아 건강관리

  • 산후도우미 지원: 세종시 거주 출산가정 전원 대상, 정부지원 범위 내 비용 지원
  • 지원내용: 서비스 기간, 다태아 여부에 따라 차등 지원 (단태아 최대 50만 원, 쌍태아 100만 원, 삼태아 이상 150만 원) 
  • 신청범위: 임신 중 ~ 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 가능
  • 맘편한 지원사업: 자체 재원으로 기간·품질 확대 (최대 25일, 전출 안 하면 자동 연장)

🤰 난임·임신 지원

  • 난임시술비: 지역 내 난임 진단 부부 대상, 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금 일부 세종시 지원
  • 임신 전·후 검사비 등: 정부 정책에 따라 상담·검사비용 확대 지원

🏥 의료비·건강관리 지원

  •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복지부 기준 대상자에 대해 월 바우처로 지원
  •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의료비 본인부담 일부 지원 (질병·입원 치료 시 포함)

❓ 자주묻는질문(FAQ)

  • Q1. 첫만남이용권과 출산장려금은 중복 신청 가능한가요?
  • A1. 네, 출생 신고 후 각 사업 조건을 충족하면 모두 중복 신청 및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Q2. 산후도우미 사업은 자동 등록되나요?
  • A2. 임신 40일 이후부터 출산 30일 이내 읍·면·동 또는 온라인(노리마루 등)으로 신청해야 지원이 시작됩니다.
  • Q3. 난임시술비 지원받으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하나요?
  • A3. 난임 진단서 등을 첨부하여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에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 추가문의:
• 세종시 인구여성가족과: 044‑300‑3716
• 세종시 보건소 건강증진과: 044‑301‑213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