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총정리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9. 24.
반응형

2025년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총정리

2025년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총정리

서울시는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임산부를 대상으로 출산급여를 지원합니다. 출산급여는 최대 240만원 보장되며, 고용보험 미적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 사업내용

1인 자영업자 및 임산부에게 출산급여 90만원을 지원합니다.

  • 출산급여 보장: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150만원 + 서울시 추가 90만원 = 총 240만원
  • 유·사산 산모는 임신 주수에 따라 차등 지원
  • (임신 12~15주) 태아당 60만원
  • (임신 16~21주) 태아당 30만원 + 110만원
  • (임신 22~27주) 태아당 60만원 + 140만원
  • (임신 28주 이상) 태아당 90만원 + 170만원

👩 지원대상

  • 서울시 거주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임산부
  •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 가능
  • 고용보험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수혜자

📑 준비서류

  •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급결정통지서
  • 신분증 사본
  • 출생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신생아 포함)
  • 계좌사본

발급경로: 전자정부민원포털 및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

📝 신청방법

  1. 몽땅정보통 온라인 플랫폼 접속
  2. 출산 관련 서류 업로드 및 신청서 작성
  3. 심사 후 계좌 입금 (약 14일 소요)

❓ 자주 묻는 질문

  • Q. 고용보험 가입자는 해당이 되나요?
    A. 아니요, 고용보험 미적용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Q. 프리랜서도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1인 자영업자뿐만 아니라 프리랜서 임산부도 지원대상입니다.
  • Q. 출산 후 언제까지 신청할 수 있나요?
    A.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 가능합니다.

📞 문의처

  • 서울특별시 다산콜센터: ☎ 02-120
  • 서울시 구별 보건소 및 여성가족과 (이미지 내 연락처 참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