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서울시 종로구 출산지원 정책 총정리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4. 11.

 

 

2025년 서울시 종로구 출산지원 정책 총정리

서울시 종로구에서는 출산과 육아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출산장려금은 물론 산후조리비, 출생축하용품, 건강보험료 지원까지 꼼꼼히 챙겨보세요!

 

목차

  1. 1. 출산장려금 (첫만남이용권)
  2. 2. 부모급여
  3. 3. 산후조리비 지원
  4. 4. 출생축하용품 지원
  5. 5. 셋째아 이상 건강보험료 지원
  6. 6. 다둥이 행복카드
  7. 7. 1인 자영업자 출산가구 지원
  8. 8. 서울엄마아빠택시
  9. 9. 서울형 가사서비스
  10. 10. 자주 묻는 질문(FAQ)

 

 

1. 출산장려금 (첫만남이용권)

  • 첫째아: 200만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급
  • 둘째아 이상: 300만원 바우처 지급

신청: 출생신고 후 1년 이내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2. 부모급여

  • 만 0세 아동: 월 100만원
  • 만 1세 아동: 월 50만원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차감 후 지급

3. 산후조리비 지원

  • 단태아: 100만원
  • 쌍태아: 200만원
  • 삼태아 이상: 300만원

신청: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 서울맘케어 또는 주민센터

 

4. 출생축하용품 지원

선택형 4종 세트 제공 (건강·놀이·위생·수유 박스 중 택1)
신청: 출산 예정일 50일 전부터 가능

5. 셋째아 이상 건강보험료 지원

  • 대상: 출생일 기준 10개월 전부터 종로구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셋째아 이상 영아
  • 내용: 매월 1회씩 보험료 납입 (10년간), 최대 진단비 1천만원, 수술비 500만원 등
  • 신청: 출생일 기준 1년 이내 주민센터 제출

 

6. 다둥이 행복카드

  • 대상: 종로구 거주 2자녀 이상 가정 (막내가 만13세 이하)
  • 혜택: 참여업체 할인, 제휴시설 할인 등
  • 신청: 동 주민센터 또는 우리은행 영업점

7. 1인 자영업자 출산가구 지원

  • 임산부 출산급여: 50만원 지원
  • 출산휴가급여: 최대 150만원 지원
  • 신청: 육아플랫폼(umppa.seoul.go.kr) 또는 주민센터

8. 서울엄마아빠택시

  • 대상: 24개월 이하 영아와 함께 주민등록된 실질 양육자
  • 지원: 영아 1인당 연 10만원 택시 이용 포인트
  • 신청: I.M(아이엠)택시 앱 또는 주민센터

9. 서울형 가사서비스

  • 대상: 중위소득 15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 지원: 총 10회 가정방문형 가사도우미 서비스 (1회 4시간)
  • 신청: 서울형 가사서비스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접수

 

 

 

10. 자주 묻는 질문(FAQ)

Q1. 출산장려금은 언제까지 신청 가능한가요?
A1. 출생신고 후 1년 이내 신청하셔야 합니다.
Q2. 산후조리비 바우처는 어디서 사용 가능한가요?
A2. 제휴 산후조리원 및 건강식품 구매처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Q3. 다둥이 행복카드는 언제까지 쓸 수 있나요?
A3. 막내가 만 13세가 되기 전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Q4. 서울엄마아빠택시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4. I.M(아이엠)택시 앱에서 회원가입 후 신청 가능하며, 서류 등록 필요합니다.
Q5. 셋째아 건강보험료는 보험사에서 따로 연락 오나요?
A5. 신청 후 담당 설계사가 직접 연락하여 보험 설명과 서류 접수를 도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