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시 용산구 출산지원금 총정리
서울시 용산구는 2025년 기준으로 출산과 육아에 대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산장려금부터 부모급여, 육아수당, 가정양육수당까지 모든 내용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목차
1. 출산지원금 (셋째아 이상)
- 셋째아: 200만원
- 넷째아 이상: 400만원
- 쌍생아: 자녀별로 각각 지원
- 신청대상: 출생신고 시 용산구에 주민등록이 있는 부모
- 신청기한: 출생일 기준 1년 이내, 전입자의 경우 180일 이내
- 제출서류: 신청서, 통장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 신청장소: 관할 동주민센터
2. 첫만남이용권
- 지원금액: 출생아 1인당 200만원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 사용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3. 부모급여
- 0~11개월(만 0세): 월 100만원
- 12~23개월(만 1세): 월 50만원
지원대상: 보육기관 미이용 & 가정 양육 중인 아동 (0~23개월)
신청기한: 출생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 시 소급 가능
지급일: 매월 25일 (토/공휴일 전일 지급)
신청장소: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4. 아동수당
- 지원대상: 0~95개월 미만 (만 8세 미만) 아동
- 지원금액: 월 10만원
- 신청기한: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소급 지급
- 지급일: 매월 25일
5. 가정양육수당
가정양육수당
- 대상: 어린이집 미이용 & 가정 양육 중인 만 24개월~86개월 미만 아동
- 지원금액: 월 10만원
6. 자주 묻는 질문(FAQ)
- Q1. 셋째아 출산하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A1. 출산지원금 200만원,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부모급여 월 최대 100만원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 Q2. 부모급여는 소급 신청이 가능한가요?
- A2. 네,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일 기준으로 소급 지급됩니다.
- Q3. 첫만남이용권은 어떤 카드로 지급되나요?
- A3.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되며, 출생아 기준 1년간 사용 가능합니다.
- Q4. 쌍둥이 출산 시 어떻게 지원되나요?
- A4. 각각의 자녀별로 출산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셋째+넷째 쌍생아 출산 시 각각 200만원+400만원 지급됩니다.
- Q5. 부모가 외국에 장기체류하면 부모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 A5. 부모 또는 아동이 90일 이상 해외 체류 시 해당 월부터 지급이 정지됩니다.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서울시 성북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4.18 |
---|---|
2025년 서울시 동대문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4.16 |
2025년 서울시 광진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4.15 |
2025년 서울시 성동구 출산지원금 및 육아정책 총정리 (0) | 2025.04.14 |
2025년 서울시 중구 출산지원금 총정리 (0) | 2025.04.13 |
2025년 서울시 종로구 출산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4.11 |
경상북도 23개지역 출산지원금 및 정책 안내 (0) | 2025.04.10 |
2025년 경상북도 울릉군 출산지원금 총정리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