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시 성북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서울시 성북구는 출산을 장려하고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출산축하금, 부모급여, 산후조리비, 교통비 지원까지 2025년 기준으로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참고로 요즘 거짓정보들이 많습니다. 저의 블로그에서 확실한 정보 얻어가세요 :)
📌 목차
1. 출산축하금
-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중 6개월 이상 성북구 거주자
- 금액: 셋째 100만원, 넷째 150만원, 다섯째 이상 200만원
- 신청기한: 출생 후 1년 이내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또는 정부24 행복출산 통합신청
- 문의: 성북구청 여성가족과 ☎ 02-2241-2583
2. 첫만남이용권
- 지원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지원금액: 출생아 1명당 200만원
- 지급방식: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 사용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
3. 부모급여 및 육아수당
- 부모급여:
- 0~11개월: 월 100만원
- 12~23개월: 월 50만원
- 가정양육수당: 24~86개월 미만, 월 10만원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월 10만원
- 신청: 복지로,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지원대상: 성북구에 주민등록을 둔 산모
- 지원금액: 단태아 100만원, 쌍태아 200만원, 삼태아 이상 300만원
- 유산·사산 산모도 지원 대상
- 신청기한: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 지급방식: 본인 명의 카드에 바우처 포인트 지급
- 신청처: 서울맘케어 또는 주민센터
5.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임산부
- 지원금액: 1인당 70만원
- 사용기한: 임신 12주 ~ 출산 후 3개월
- 지급방식: 본인 명의 카드에 교통 포인트
6. 다자녀가정 지원
- 다둥이 행복카드: 3자녀 이상 가정에 발급
- 혜택: 공공시설 및 제휴업체 할인
- 신청처: 동 주민센터
7. 아이돌봄 서비스
- 대상: 생후 3개월 ~ 만 12세 이하 자녀
- 내용: 아이돌보미 파견 돌봄 서비스
- 요금: 시간당 11,630원 (정부지원 비율 소득별 차등)
- 신청: 동 주민센터 → 아이돌봄 홈페이지
- 문의: 성북구 아이돌봄센터 ☎ 02-435-4147~8
8.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부모급여는 아동수당과 중복되나요?
- A1. 네, 가능합니다. 부모급여와 아동수당은 각각 지원됩니다.
- Q2. 산후조리비 바우처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 A2. 지정된 산후조리원, 건강관리서비스 등에 사용 가능합니다.
- Q3. 교통비 포인트는 어디서 쓰나요?
- A3. 대중교통, 유류비, 택시 등 교통 관련 항목에 사용 가능합니다.
📞 문의처: 성북구청 여성가족과 02-2241-2583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경상북도 진주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0) | 2025.04.24 |
---|---|
2025년 서울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0) | 2025.04.22 |
2025년 서울시 노원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0) | 2025.04.21 |
2025년 서울시 도봉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0) | 2025.04.20 |
2025년 서울시 동대문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4.16 |
2025년 서울시 광진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4.15 |
2025년 서울시 성동구 출산지원금 및 육아정책 총정리 (0) | 2025.04.14 |
2025년 서울시 용산구 출산지원금 총정리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