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서울시 노원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4. 21.

2025년 서울시 노원구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서울시 노원구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지원 내용입니다.

 

 목차

  1. 첫만남이용권
  2. 부모급여 및 육아수당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4. 임산부 교통비 지원
  5. 아이돌봄 서비스
  6. 자주 묻는 질문 (FAQ)

1. 첫만남이용권

  • 지원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의 보호자
  • 지원금액: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 지급형태: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 사용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복지로, 정부24 또는 동 주민센터 방문

2. 부모급여 및 육아수당

  • 부모급여:
    • 0~11개월: 월 100만 원
    • 12~23개월: 월 50만 원
  • 가정양육수당: 24~86개월 미만, 월 10만 원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월 10만 원
  • 신청처: 복지로, 정부24, 동 주민센터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6개월 이상 산모로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자
  •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바우처 100만 원 상당 지급
    • 건강관리사 방문 산후도우미 서비스 제공
    • 산후조리 관련 업종 (한약, 건강식품, 산후운동 등) 이용 가능
  • 서비스 기간:
    • 첫째아: 10일 (단축 5일, 연장 15일)
    • 둘째 이상 또는 다태아: 15~20일
  • 신청기한: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
  • 신청방법: 서울아기 건강지원센터 또는 동 주민센터 방문
  • 문의처: 노원구 보건소 ☎ 02-2116-4311

 

4.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임산부
  • 지원금액: 1인당 70만 원
  • 지급형태: 본인 명의 카드에 교통 포인트 지급
  • 사용기한: 임신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 신청방법: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또는 동 주민센터

5. 아이돌봄 서비스

  • 대상: 생후 3개월 ~ 만 12세 이하 아동
  • 내용: 아이돌보미가 가정 방문 돌봄 서비스 제공
  • 이용료: 시간당 12,180원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 신청: 아이돌봄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신청
  • 문의: 노원구 가족정책과 ☎ 02-2116-4312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첫만남이용권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A1.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지급되며, 육아 관련 업종에서 바우처로 사용 가능합니다.
Q2. 부모급여는 아동수당과 중복해서 받을 수 있나요?
A2. 네, 부모급여와 아동수당은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Q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은 소득과 상관없이 받을 수 있나요?
A3. 기본적으로 모든 산모가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은 소득과 상관없이 받을 수 있나요?
A3. 기본적으로 모든 산모가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4. 노원구 출산장려금은 폐지되었나요?
A4. 네, 노원구의 자체 출산장려금은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정부의 부모급여, 첫만남이용권 등으로 대체 지원되고 있습니다.
Q5. 교통비 지원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A5.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임산부는 소득과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 문의처: 노원구청 가족정책과 ☎ 02-2116-4312, 노원구 보건소 ☎ 02-2116-4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