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서울시 성동구 출산지원금 및 육아정책 총정리

by 사회복지 11년차 2025. 4. 14.

 

2025년 서울시 성동구 출산지원금 및 육아정책 총정리

출산율 증가를 위한 성동구의 아낌없는 혜택! 2025년 성동구는 출산 가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두었습니다. 출산장려금부터 산후조리비,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까지 빠짐없이 정리해드릴게요!

 

목차

  1. 출생축하금
  2. 첫만남이용권
  3. 부모급여 및 육아수당
  4. 산후조리비 지원
  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6. 임산부 교통비 지원
  7. 자주 묻는 질문 (FAQ)

성동구 출산지원금

 

1. 출생축하금

  • 셋째아: 300만원 일시금
  • 넷째아: 500만원 (300 + 200만원 분할)
  • 다섯째아 이상: 총 1000만원 (분할 지급)
  • 조건: 출생일 포함 1년 이상 성동구 거주 시
  • 신청처: 동 주민센터

2. 첫만남이용권

  • 첫째아: 200만원
  • 둘째아: 300만원
  • 지급방식: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 사용기한: 출생일 기준 2년까지

3. 부모급여 및 육아수당

  • 부모급여:
    • 0~11개월: 100만원/월
    • 12~23개월: 50만원/월
  • 가정양육수당: 24~86개월 미만 아동, 10만원/월
  • 장애아동 양육수당: 최대 20만원/월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10만원/월

4. 산후조리비 지원

  • 현금 50만원: 출생일 기준 3개월 이상 거주 산모 대상
  • 바우처 100만원: 성동구 거주 산모 대상, 산후조리 업종 등 사용 가능
  • 신청기한: 출산 후 60일 이내
  • 신청방법: 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서울맘케어, 정부24)

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 지원내용: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 지급
  • 유형: 단축, 표준, 연장형
  • 소득기준: 없음 (단, 본인부담금 차등 적용)
  • 저소득층: 본인부담금의 90% 추가 지원

6.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금액: 70만원
  • 지급방식: 교통 바우처 (본인 명의 카드 포인트)
  • 사용기한: 임신 기간 및 출산 후 6개월까지
  • 신청처: 동 주민센터 또는 서울맘케어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출생축하금은 모든 출산가정에 지급되나요?
A1. 셋째아 이상 자녀 출생 시, 출생일 포함 1년 이상 성동구 거주 조건 충족 시 지급됩니다.
Q2. 산후조리비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2. 출산 후 60일 이내, 동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서울맘케어, 정부24)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Q3. 부모급여는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A3.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시 소급 적용되며, 매월 25일 지급됩니다.
Q4. 임산부 교통비는 어떤 방식으로 받나요?
A4. 본인 명의 카드에 교통포인트로 지급되며, 대중교통 및 자가 유류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문의처: 성동구 보건소 건강관리과 02-2286-7036, 동 주민센터